2025/07 4

사랑니가 매복됐을 때 발치가 꼭 필요한 이유

매복 사랑니란 무엇인가?사랑니는 사람의 구강 구조상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제3대구치로, 대개 만 17세에서 25세 사이에 맹출된다. 하지만 턱뼈의 공간이 부족하거나 방향이 비정상적인 경우 사랑니가 잇몸이나 턱뼈에 갇힌 채 제대로 올라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매복 사랑니(Impacted Wisdom Tooth)’**라고 한다. 완전히 잇몸 속에 묻혀 있는 완전 매복, 일부만 노출된 부분 매복으로 나뉘며, 방향에 따라 수평 매복, 수직 매복, 경사 매복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특히 하악(아래턱) 사랑니에서 매복 상태가 자주 발생하며, 대부분의 매복 사랑니는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랑니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자라면 인접 치아를 밀거나, 치아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사랑니 03:00:42

수면마취 vs 국소마취, 사랑니 발치에 더 적합한 방식은?

사랑니 발치에 사용되는 마취의 종류 사랑니 발치 시 사용되는 마취는 크게 **국소마취(Local Anesthesia)**와 수면마취(진정요법, Sedation) 두 가지로 나뉜다.국소마취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에서 경험하는 방식으로, 입 안의 일부 부위에만 감각을 없애는 방식이다.주로 리도카인(lidocaine), 아티카인(articaine) 등의 국소마취제를 주사하여 신경전달을 차단하며,의식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의료진과 대화도 가능하다.반면 수면마취는 정확히 말하면 **전신마취가 아닌 ‘의식하 진정요법’**에 해당된다.환자는 자연스럽게 잠든 듯한 상태가 되며, 대부분 시술 과정을 기억하지 못한다.진정제는 정맥주사 또는 흡입을 통해 투여되며, 종류에 따라 졸림 정도가 다르다.정확히는 ..

사랑니 2025.07.01

위 사랑니 vs 아래 사랑니, 발치 통증과 회복 차이 비교

사랑니 위치에 따른 구조적 차이 사랑니는 위턱과 아래턱 양쪽 끝 어금니 부위에서 자라는 제3대구치로, 구강 내에서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치아다. 그런데 위쪽에 나는 사랑니와 아래쪽에 나는 사랑니는 생김새와 구조, 자라는 방향부터 차이가 있다. 위 사랑니는 상대적으로 똑바로 자라는 경우가 많고, 턱뼈 구조상 자리를 차지할 공간도 비교적 넓다. 반면에 아래 사랑니는 공간이 부족한 아래턱 뒤쪽에 매복되거나, 옆으로 누워 자라는 경우가 많다. 하악골(아래턱뼈)은 구조상 단단하고 혈류가 적은 편이라 염증이 오래가거나 회복이 느릴 수 있다. 또한 아래 사랑니는 하악 신경관과 가까운 위치에 자라는 경우가 많아, 신경과의 거리도 발치 시 중요한 판단 요소가 된다. 위 사랑니는 상악동(위턱 뼈 속의 빈 공간)과의 거리를..

사랑니 2025.07.01

건성 소켓(Dry Socket)이 뭔가요? 예방법과 증상 총정리

건성 소켓이란 무엇인가? 사랑니 발치 후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 중 하나가 바로 **건성 소켓(Dry Socket)**이다. 건성 소켓은 치과 용어로 **‘치조골염(Alveolar Osteitis)’**이라고도 불리며, 발치 후 상처 부위의 뼈가 외부로 드러나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랑니를 발치한 후에는 지혈 작용을 통해 **혈병(혈전)**이 형성되는데, 이 혈병이 발치 부위를 덮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조직이 재생되는 동안 상처를 감싸준다. 그러나 혈병이 어떤 이유로든 떨어지거나 녹아 없어지면, 상처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고 뼈가 외부 자극에 노출되면서 극심한 통증이 생긴다. 이 상태가 바로 건성 소켓이다. 특히 아래턱 사랑니를 발치했을 때 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통증은 ..

사랑니 2025.07.01